수영과 조깅으로 여는 중장년 여가생활의 미래
🔎 ‘70년대생 퇴직 러시’가 던지는 사회적 과제
2025년, 대한민국은 70년대생의 퇴직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산업화 고도성장의 중추였던 이 세대는 50대 초중반의 나이에 대규모로 노동시장에서 이탈하고 있으며, 기존 은퇴세대보다 활동적이고 건강한 중년기를 보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들의 삶의 두 번째 막을 설계할 사회적 인프라가 부재하다는 데 있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며, 2030년이면 노인 비율이 25%를 넘을 전망이다. 이처럼 노년기 전환이 빨라지는 시대에서, “퇴직 후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시스템 재설계의 출발점이 된다.
🌿 조깅과 수영, 은퇴자에게 최적화된 운동이자 여가
퇴직 이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건강과 소속감, 그리고 삶의 리듬이다. 조깅과 수영은 이 세 가지를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대표적인 생활형 운동이다.
- 조깅은 ‘무료한 낮’을 목적 있는 시간으로 바꿔준다.
공원을 걷고 뛰며 생기는 자연스러운 인간관계, 마을 마라톤이나 동호회 활동은 고립감을 줄인다. - 수영은 관절 부담이 적고, ‘오래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실내 수영장은 사계절 무관하게 사용 가능하고, 중장년 여성층의 근감소증과 골다공증 예방에도 유효하다.
무엇보다 이 두 운동은 규칙적인 일상 구조를 회복하게 도와주며, 이는 퇴직 이후 정신 건강 유지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할 수는 있지만, 할 곳이 없다’
문제는 인프라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 수영장은 인구 1만 명당 0.78개, OECD 평균(1.95개)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특히 서울을 제외한 지방 중소도시는 수영장을 포함한 유료 실내 운동시설 접근성이 낮다.
조깅 역시 걷기 좋은 길, 계단 없는 공원, 안전한 야간조깅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 지역은 제한적이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은퇴자 운동 인프라가 발달한 나라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국가 | 인구 1만 명당 공공 수영장 수 | 전용 러닝 트랙(100만 명당) | 65세 이상 노인 스포츠 참여율 |
---|---|---|---|
독일 | 2.1개 | 34곳 | 48% |
일본 | 1.6개 | 28곳 | 52% |
대한민국 | 0.78개 | 12곳 | 19% |
출처: OECD Sports Infrastructure Report 2024, 대한체육회 통계센터(2023)
🛠️ 퇴직 세대를 위한 사회 인프라, 이렇게 바꾸자
1. 지역 기반 ‘걷기 좋은 도시’ 설계
- 퇴직자의 1차적 활동 공간은 ‘내가 사는 동네’다.
- 중장년을 위한 조깅 트랙, 야간조명 산책로, 공공화장실 설치가 필수.
- 일본 오사카시는 50세 이상 주민에게 조깅 인증 앱을 연동해 지역화폐를 지급하는 ‘헬스 포인트 제도’를 운영 중이다.
2. 공공 수영장의 중장년 전용 시간대 확대
- 현재 대부분 수영장이 학령기 청소년 혹은 고급 레슨 중심으로 운영된다.
- 퇴직자 전용 ‘중강도 수중운동 프로그램’, ‘골격강화 수영 코스’를 운영하고, 의료기관 연계형 수영 처방제를 도입할 수 있다.
- 스위스 바젤시는 지역병원과 연계해 고혈압·당뇨 환자에게 수영을 의료처방으로 제공 중이다.
3. 퇴직자 중심 커뮤니티 스포츠 클럽 확대
- 독일은 은퇴 이후 스포츠 동호회 등록률이 40% 이상이며, ‘노년 스포츠지원청’을 따로 운영한다.
- 한국에서도 구청/복지관 중심의 수영·조깅 커뮤니티를 육성하고, 문화·여행·자원봉사와 결합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4. 운동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한 ‘운동 사다리 정책’
- 대도시와 지방 간,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운동 접근성은 점점 벌어지고 있다.
- 프랑스는 연 1회 65세 이상 대상 무료 수영권/헬스 프로그램 이용권을 우편으로 제공하고, 저소득층에게 ‘건강활동 기본소득’ 개념의 정책도 시행 중이다.
- 한국도 운동형 지역화폐, 기초지자체 주도 건강포인트제 등을 통해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다.
🌈 ‘건강한 퇴직’을 위한 사회적 선택
퇴직은 끝이 아니라 인생 2막의 시작이다. 문제는 ‘퇴직자’가 아니라, 이들을 맞이할 사회의 준비다.
수영과 조깅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사회적 연결망을 회복시키는 열쇠다.
국가가 여가와 건강을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릴 것이 아니라, 사회가 지원해야 할 ‘복지의 일환’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제는 퇴직 이후의 건강하고 품위 있는 삶이 당연한 권리가 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스포츠 인프라 기반 도시재생 사례
🎈San Diego (미국)
샌디에고시의 대표적인 커뮤니티 센터(Standley Recreation Center) 전경. 샌디에고시는 4만2400에이커 이상의 공원·레크리에이션지를 관리하며 60개 레크레이션센터와 15개 수영장, 300여 개 놀이터 등을 운영한다sandiego.gov. 2021년 승인된 Parks Master Plan에서는 기존 공원 배치의 불균형(낮은 소득·밀집지역의 공원 부족)을 해결하여 모든 지역에 안전하고 깨끗한 공원 접근권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뒀다sandiego.gov. 공원·레크레이션 예산에는 시의 Age-Friendly San Diego 전략도 반영되어 노년층 프로그램 확대(디지털 교육, 무료 급식 등)를 추진한다sandiego.govsandiego.gov.

-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시는 연중 축구·농구·배구 등 Youth Sports 리그를 운영하고, 산타 페 공원 등지에 대형 스케이트파크(예: Linda Vista Skate Park)와 골프장을 설립하여 청년층 여가활동을 지원한다. 지역의 리틀리그·팝워너 등 민간 스포츠단체들과 협업하여 학교 운동장을 공동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장려한다sandiego.govsandiego.gov.
- 고령친화 도시 전략: 시 공원국의 AgeWell Services 프로그램은 60세 이상 주민 대상 운동·댄스 강좌, 문화행사, 기술 교육 등을 제공하며 WHO/AARP 고령친화 네트워크 참여를 통해 노인 체육·여가 인프라를 확대한다sandiego.govextranet.who.int. 발보아공원 시니어 라운지, Park de la Cruz 커뮤니티센터의 무료 급식 및 테크 교실 등은 고령층의 사회적 고립 완화와 건강증진에 기여한다sandiego.govextranet.who.int.
- 균형 발전과 재정 운영: 시는 시내 100여 곳의 학교 운동장·시설을 주민에게 개방하는 협약을 맺는 등 공동이용을 활성화한다sandiego.gov. 재정 측면에서 시 의회는 의회 우선순위, 독립예산분석관 제안 등을 수렴하여 공원·레크 사업을 반영하며, 기후행동·기후형평성 지표 등을 고려해 커뮤니티별 우선순위를 조정한다sandiego.gov. 이러한 투자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하며, 시는 해변·공원 중심의 ‘건강한 휴양도시’ 이미지를 유지함으로써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고 있다.
⚽ Dresden (독일)
드레스덴 스포츠파크 오스트라의 하인츠 슈타이어 경기장 전경. 드레스덴시는 스포츠 개발계획 2025와 고령친화 전략을 함께 추진하는 ‘건강 활기 도시(Healthy City)’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그 일환으로 공원·녹지에서 무료 운동 강좌를 제공하는 Fit in the Park 모델을 도입했다dresden.dedresden.de. 이 프로젝트는 평소 운동을 거의 하지 않던 모든 연령층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주거지 인근 공원에서 요가·댄스·스트레칭 등 11개 종목의 수업을 무료로 진행함으로써 주민 건강과 만성질환 예방을 도모했다dresden.de. 기획 단계부터 시민·스포츠 단체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함께 운동하며 즐거움을 느끼자”는 메시지를 강조했으며, 전문가 강사를 통한 수업 진행으로 품질도 확보했다dresden.de.

- 디지털 스포츠파크: 드레스덴시 스마트시티 사업의 일환으로 Sportpark Ostra에 디지털 예약·관리 시스템을 도입한다. 시민과 클럽, 어린이·청소년·노인 등 이용자들이 모바일 앱을 통해 경기를 예약하고, 실시간 시설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인다smartcity.dresden.desmartcity.dresden.de. 시는 이 과정에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체육시설 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공동체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도보 측정 트랙 등 혁신적인 기능도 시연 중이다smartcity.dresden.desmartcity.dresden.de.
- 노인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 드레스덴은 WHO 건강도시 네트워크에도 참여하여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 정책을 펼친다. Fit in the Park 외에도, 노인 전용 체육장비를 갖춘 공원이나 건강 상담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 노년층의 신체활동 참여를 독려한다. 도시 브랜드 측면에서 드레스덴시는 스마트·친환경 이미지를 강조하며, 스포츠를 통한 주민 건강과 사회 교류 증진을 도시 경쟁력으로 홍보한다.
✈ Melbourne (호주)
멜버른 인근 Frankston 지역의 공공 스포츠 시설(프랭크스턴 파크 구장) 전경. 빅토리아주 정부는 **Local Sports Infrastructure Fund(LSIF)**를 통해 2024-25년 메트로 멜버른 지역에 1,700만 호주달러를 투입하여 28개 커뮤니티 스포츠 시설을 신·증축했다sport.vic.gov.au. Dandenong의 종합 경기장, 프랭크스턴 풋볼 클럽의 라커룸, Fawkner의 경기장 조명 개선 등 사업을 진행했고, 이들 시설사업 덕분에 최근 2년간 330여 개 시설에서 참여자가 43%(7만명) 증가하고 여아 참여가 19% 늘어나는 등 운동 참여 확대 효과를 거두었다sport.vic.gov.au. 총 5억3천만 달러 규모 시설공사로 지역경제에도 1,170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되었다sport.vic.gov.au.

- 시 정책·프로그램: 멜버른 시는 ‘Active Melbourne’ 브랜드로 6개 기존 커뮤니티 레크센터(스케이트파크, 수영장, 복합센터 등)를 YMCA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victoria.ymca.org.au. 카를튼 목욕탕, 켄싱턴 수영·레크센터, 노스멜버른 커뮤니티센터 등에서 주민들이 수영·체육·강좌를 이용하며, 2022년부터는 노스멜버른 야외수영장과 로얄파크 골프장까지 계약 범위가 확대되었다victoria.ymca.org.au. YMCA 측은 이들 시설을 올 연령층의 포용적 허브로 운영하기 위해 청소년 지원(‘The Huddle’ 청소년 아웃리치), 취업 지원 프로그램과 여성·이주민 대상 프로그램 강화 등을 추진한다victoria.ymca.org.auvictoria.ymca.org.au.
- 고령친화 전략: 시는 2020-24년 ‘Melbourne: A Great Place to Age’ 계획을 통해 고령 주민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고령층이 도시 생활과 노동시장에 활발히 참여하도록 돕기 위해 커뮤니티 센터 프로그램, 실버 축제, 돌봄 지원 등을 확대하며, 멜버른이 “노년층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를 적극 부각시킨다hdp-au-prod-app-com-participate-files.s3.ap-southeast-2.amazonaws.com. 실제로 멜버른은 스포츠·문화 인프라가 잘 발달하여 많은 노인이 스포츠 활동을 위해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dp-au-prod-app-com-participate-files.s3.ap-southeast-2.amazonaws.com.
- 균형발전: 멜버른시의 인구는 도심과 주변지역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어, 도시계획 단계에서 증가하는 청·장년 인구의 스포츠·여가 수요를 고려한다hdp-au-prod-app-com-participate-files.s3.ap-southeast-2.amazonaws.com. 특히 도심권(CBD), Docklands, North Melbourne 등 주요 지구의 인구가 60~100% 이상 급증할 전망이므로, 시는 공원과 스포츠 필드를 확충하여 모든 계층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멜버른시는 전 세계적인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이미지에 스포츠·레크 활동의 활력을 더해, 주민 유입 및 도시 경쟁력 강화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출처: 각 도시 정부 웹사이트 및 보고서sandiego.govsandiego.govsandiego.govsandiego.govsandiego.govsandiego.govextranet.who.intextranet.who.intdresden.dedresden.dedresden.desmartcity.dresden.desmartcity.dresden.desport.vic.gov.ausport.vic.gov.ausport.vic.gov.auvictoria.ymca.org.auvictoria.ymca.org.auvictoria.ymca.org.auhdp-au-prod-app-com-participate-files.s3.ap-southeast-2.amazonaws.comhdp-au-prod-app-com-participate-files.s3.ap-southeast-2.amazonaws.com (각 도시별 정책·프로그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