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대한민국 수영계에는 단 하나의 신(神)만이 존재한다. 바로 ‘대한수영협회(KSA) 엘리트 센터’, 통칭 ‘프로젝트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국가대표를 ‘생산’하는 거대한 공장이다. 최첨단 수력학 분석 시스템, 빅데이터 기반의 훈련 프로그램, 전담 영양사와 심리학자까지. 이곳에 선발된 10대 선수들은 ‘수영’이 아닌 ‘결과’를 배운다. 부모의 재력, 인맥, 그리고 코칭스태프의 정치력은 재능만큼이나 중요한 선발 기준이 된 지 오래다. 포세이돈의 아이들은 국가대표가 되고, 올림픽에 나가고, 연금과 광고 계약으로 보상받는다. 이것이 2025년의 유일한 ‘성공 신화’다.

하지만 불과 10년 전, 수영계에는 또 다른 길이 존재했다.
2015년, 진천선수촌 수영장. 베이징 올림픽의 영광을 재현하겠다며 협회가 야심 차게 출범시킨 ‘프로젝트 포세이돈’ 1기 핵심 멤버 ‘서도준’이 있었다. 그는 시스템이 빚어낸 완벽한 작품이었다. 190cm가 넘는 신체, 컴퓨터처럼 정확한 스트로크, 그리고 어떤 압박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철 멘탈까지. 언론은 그를 ‘물의 알파고’라 불렀다.
그의 맞은편 4번 레인에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결승에 올라온 한 명의 이단아(異端兒)가 있었다. 경상남도 마산의 낡은 시립 수영장에서 훈련하는 ‘이강호’. 지원금 하나 없이, 은퇴한 아버지를 코치 삼아 새벽 수영을 하는 ‘흙수저’였다. 그의 영법은 교과서와는 거리가 멀었다. 투박하고, 거칠었지만, 마치 성난 파도처럼 레인을 집어삼킬 듯한 기세가 있었다. 사람들은 그의 수영에서 사라져가는 ‘낭만’을 보았다.
국가대표 최종 선발전. 0.01초를 다투는 숨 막히는 접전 끝에, 터치패드를 먼저 찍은 것은 이강호였다.
그러나 전광판에 1위로 뜬 이름은 서도준.
협회는 이강호의 턴 동작 중 미세한 규정 위반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이강호의 아버지가 거세게 항의했지만, 그는 곧 심판진의 경고와 다른 학부모들의 싸늘한 외면 속에 고개를 숙여야 했다. 서도준은 담담한 표정으로 인터뷰했고, 이강호는 수건을 뒤집어쓴 채 수영장을 빠져나갔다.
그날 이후, 서도준은 국가대표가 되어 몇 개의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고 은퇴 후 포세이돈의 스타 코치가 되었다. 이강호는 그랑프리 대회를 끝으로 수영계를 떠났다는 소문만 남긴 채 자취를 감췄다.
그리고 10년이 흘렀다.
‘프로젝트 포세이돈’은 더욱 견고한 그들만의 리그가 되었다. 막대한 예산은 서울의 센터에만 집중됐고, 지방의 수영장은 경영난으로 하나둘씩 문을 닫았다. ‘이강호’와 같은 이야기는 이제 정말 전설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 되었다. 동네 수영장에서 재능을 발견하고, 열정 하나로 국가대표에 도전하는 것은 바보 같은 망상 취급을 받는다.
2025년 10월, 경기도 외곽의 한 도시.
‘부영 시민 수영장’ 정문에 붉은 글씨의 현수막이 나붙었다.
[경영 악화로 인한 폐관 안내. 12월 31일부로 운영을 종료합니다.]
락스 냄새와 아이들의 함성이 뒤섞인 낡은 수영장. 그곳 3번 레인 끝에서, 한 소년이 벽에 붙은 현수막을 물끄러미 올려다보고 있었다. 닳아빠진 수영복, 몇 번이나 끈을 갈아 끼운 낡은 수경. 소년의 어깨는 아직 다 자라지 않았지만, 물을 밀어내는 그의 팔에는 불균형할 정도로 단단한 근육이 자리 잡고 있었다.
소년은 곧 고개를 돌려 다시 물속에 얼굴을 묻었다. 그의 눈에는 체념도, 분노도 아닌, 차갑고 고요한 빛이 감돌고 있었다.
이제 그가 헤엄쳐야 할 물길이, 이곳 수영장이 아닌 다른 곳을 향하고 있음을 직감하는 듯이.